본문 바로가기
LINUX/AWS-ORACLE

[LINUX] 우분투에 오라클 설치하기 1

by w1z 2023. 6. 14.

비전공 눈높이에서 봐주세요 감사합니다


aws 에 배포를 하려고 보니  DB-오라클 일 경우 헬난이도 인것 같다 ,,

일단 RDS 도 오라클을 쓰는 경우는 드물고  설치사례를 찾아봐도 잘 없다

여기까지 오기 정말 힘들었다 (비전공 & 리눅스 1도 모름)  

MYSQL 로 마이그레이션을 시도해보았으나  ORACLE > MYSQL 로 마이그레이션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라는 현직자의 글을 보고 바로 접었다 

만약 본인이 갖고있는 프로젝트  DB 가 오라클이고 AWS로 배포를 원한다면  우분투에 오라클 설치가 가장 현명하고 빠른 답이다 

 

일단 오라클버전은 

18c나 19c를 설치는 안된다고 보면 된다 

우분투는 11g,12g까지밖에 호환되지 않는다고 해 11g 으로 설치 ㄱㄱ

 

1. 우분투 접속

2. 기본 세팅

 

$ sudo passwd root
$ 비번
$ 비번

$ su root
$ 비번

$ cd /
$ mkdir download

$ apt-get update
$ apt-get upgrade
$ apt-get install unzip



3. 오라클 다운로드

11g  다운로드 url  주소

https://www.oracle.com/database/technologies/xe-prior-release-downloads.html

 

XE Prior Release Archive

Getting Started: Support Oracle Database Express Edition (XE) is a community supported edition of the Oracle Database family. Please go to the Oracle Database XE Community Support Forum for help, feedback, and enhancement requests. Note: Oracle Support Ser

www.oracle.com

 

oracle-xe-11.2.0-1.0.x86_64.rpm  

4. filezila  옮기고 ubuntu 사용자도 수정할 수 있도록 권한 주기

 

$ cd /
$ chmod 777 download



5. zip파일 압축풀기

$ cd download
$ unzip oracle*
$ cd Disk1

 


6. rpm을 deb로 변환하기

 

$ apt-get -y install alien libaio1 unixodbc
$ alien --scripts -d oracle*

- 10분정도 소요

 

7. swap설정 및 bc 패키지 설치

$ cd /
$ mkdir /swap
$ dd if=/dev/zero of=/swap/swapfile bs=1024 count=2097152
$ cd /swap
$ mkswap swapfile
$ swapon swapfile

$ apt-get install bc




8. 오라클 설치

$ cd /download
$ cd Disk1
$ dpkg --install oracle*.deb



9. 리스너 등록

$ cd /u01/app/oracle/product/11.2.0/xe/network/admin
$ nano listener.ora

-- SID_DESC 부분 추가

 

SID_LIST_LISTENER =
  (SID_LIST =
    (SID_DESC =
      (SID_NAME = CLRExtProc)
      (ORACLE_HOME = /u01/app/oracle/product/11.2.0/xe)
      (PROGRAM = extproc)
    )
    (SID_DESC =
      (GLOBAL_DBNAME = XE)
      (ORACLE_HOME = /u01/app/oracle/product/11.2.0/xe)
      (SID_NAME = XE)
    )
  )

LISTENER =
  (DESCRIPTION_LIST =
    (DESCRIPTION =
      (ADDRESS = (PROTOCOL = IPC)(KEY = EXTPROC_FOR_XE))
      (ADDRESS = (PROTOCOL = TCP)(HOST = ip-172-500-5xx-22)($
    )
  )


DEFAULT_SERVICE_LISTENER = (XE)

 

-- 환경변수 설정한다.

$ vim ~/.bashrc
export ORACLE_HOME=/u01/app/oracle/product/11.2.0/xe 
export ORACLE_SID=XE 
export NLS_LANG=`$ORACLE_HOME/bin/nls_lang.sh` 
export ORACLE_BASE=/u01/app/oracle
export LD_LIBRARY_PATH=$ORACLE_HOME/lib:$LD_LIBRARY_PATH 
export PATH=$ORACLE_HOME/bin:$PATH

vim 모드 설명

(1) 수정모드       a                

(2) 종료모드      esc키 

(3) 저장후 나가기
:wq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저장

:q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vi 종료
:wq!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강제 저장 후 종료

 

$ source ~/.bashrc

su oracle 접속 해서 똑같이 진행 

 

9.  리스너 실행을 위한 oracle-xe configure

$ /etc/init.d/oracle-xe configure
8000 포트 엔터
1521 엔터
비번
비번
y


10. 1521포트 확인

 

$ apt install net-tools

netstat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 설치 

 

$ netstat -nlpt

 

 

11. 리스너 상태확인

리스너란?

lsnrctl status

 

12. 오라클 접속

$ cd /u01/app/oracle/product/11.2.0/xe/bin
$ . ./oracle_env.sh
$ sqlplus /nolog

conn sys as sysdba


출처: https://blog.naver.com/codingspecialist/22132695227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