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학습일지] JAVA 교육일지 1일차
수업 및 교육과정을 시작하기전 학습마인드 셋
교수님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조금 요약해보자면,
input 과 output 의 값을 외워서 프로그래밍 하는 것이 아니라
input 을 넣었을 때, output 나오는 그 mechanism 을 생각하면서 과정을 지나가자.
당연히 이해가 안될 수 있지만, 반복적으로 보다 보면 이해가 되고 구구단처럼 외워져 빠르게 실무에 적용 가능하다.
정도 인 것 같다.
- HTML (HyperText Mark-up Language) 개요
--> 고등학교 정보시간때 해봤던 기억이 난다. 프로그래밍 언어는 아니다. 마크업 언어지만 컴퓨터와 language 를 통해서 상호작용을 경험 해보기 위해 배우는 것 같다. 마크 업 언어란, 문서가 화면에 표시되는 형식을 나타내거나 데이터의 논리적인 구조를 명시하기 위한 규칙들을 정의한 언어라고 한다. 문서 작성 및 웹 개발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.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함수나 메서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면, 마크업 언어는 태그로 구성되어 있다.
프로그래밍 언어와 여러 다른 점이 있겠지만, 논리 구조를 연산하지 못한다는 점이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분 할 수 없다.
ex ) 1.1 + 0.1 = 1.2 에 대해 True 나 False 의 논리 값을 언어 내에서 판정 할 수 없다.
--> html 4 vs html 5
메모장에 그냥 <html>로 시작하게된다면, html 4 버전을 사용하게 되지만, <!DOGTYPE html> 의 간단한 태그 하나로 5버전을 사용 할 수 있다. 스마트폰 등 모바일 장치들의 등장으로 웹 페이지가 모바일 화면에도 맞고 데스크탑에도 맞아야하는 수요가 생기면서 이를 개선할 방안으로 html 5가 등장하게되었다. 4 버전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Adobe Flash 같은 플러그인이 필요했으나, 5에선 내장지원된다.
이외에도 의미론적이고 구조적인 요소가 추가 및 확장 되었다.
+) 의미론적이다 (semantic) 가 무슨 뜻일까?
웹페이지의 구조와 내용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고, 웹 개발자가 문서를 작성 할 때 의도한 의미를 더 잘 전달할 수 있게 한다. 정확하게는 모르겠지만 조금 더 가독성과 시각화 측면에서 성능이 높다 라는 뜻 같다. 결국 그것이 독자가 의미와 구조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테니.
2. 기본 형식 및 여러 태그들
--> 기본 :
--> 여러 태그
-
- <h1> : 글씨 크기 조정. 1~6까지 있으며, 설정을 안할시 default 값은 <h4> 이다. 1이 제일 큰 글씨.
- <a> : 텍스트, 이미지, 아이콘 등을 클릭 가능한 링크로 만든다. href = "주소" 로 하이퍼링크를 걸 수 있다. HTML5 버전부터는 하이퍼링크의 용도로만 쓰인다고 한다.
- <img> : 이미지를 불러오는데 사용한다 src =" 주소 "속성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, alt = ""속성으로 이미지를 표시 할 수 없는 경우 대체 텍스트를 제공 할 수 있다. width, height 로 size도 지정이 가능하다.
- <br>,<p> : 줄바꿈(Enter 1회) , 문단바꿈(Enter 2회)
3. 표 만들기
결과 :

4. 표만들기 + CSS(Cascading Style Sheets)
HTML에서 CSS를 활용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다.
- head에서 선언하여 body에서 사용한다. head 에서 선언하면, 또 3가지로 적용이 가능하다. 직접 태그명령, #, . 을 이용해서 서식적용이 가능하다.
- body에서 직접 태그 명령을 한다.
결과 :


다음과 같이 width = 80% 로 전체화면이나 작은 화면이나 전체의 80%만 차지하게 된다.
오늘 배운 내용들은 모두 Visual Studio Code 와 같은 IDE를 이용하지 않고 메모장에서 해나간 것 들이다.
자동완성 기능들도 있고, 들여쓰기 등 자동으로 해주다보니 초심자에게는 어쩌면 독이 될 수도 있어서 이렇게 진행 하셨다고 한다.
프로그래밍을 공부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백문이 불여일타 라는 말이 있듯, 보조기능 없이 날코딩 해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. 그래서 오늘 수업에서는 최대한 ctrl C ,V의 사용을 자제 했다.